의료 AI의 대표격인 왓슨은 미국 의료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환자에게는 일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한국 사람들의 질병 진단에 의료 AI를 제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입력 및 한국 의료보험제도 적용이 필요하여 국내 대형 병원(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고려대의료원, 연세의료원, 아주대병원 등)에서 인공지능 의료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코트라(KOTRA)는 전 세계 인공지능 의료 시장 규모가 2021년 67억달러(약 7조5000억원)를 돌파하고 향후 2년 내에 미국 내 약 35%의 병원이 인공지능을 활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왓슨을 암 진단에 활용하고 있는 길병원이 이달 초 미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이성 결장암과 위암 환자에서 왓슨과 인간 의사가 제시하는 치료법 일치도가 40%대에 그쳤다. 길병원 연구진은 "왓슨이 암환자 진료를 학습한 미국 진료 지침, 보험 환경 등이 한국과 다르고 항암제 반응도 인종 간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출처)

2017.06.17 조선일보 AI 한계는 어디까지… '의료계'도 접수 (국내외 인공지능 의료 개발 개발 현황 도표 있음)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16/2017061601875.html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인 '스몸비(smombie)'는 

'스마트폰에 빠져 외부와 단절된 채 좀비처럼 사는 사람들'이란 뜻


스마트폰에만 집중하여 주위에 집중하지 않거나 느리게 걷는 보행자이다. 

산만한 보행자는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들은 주요한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맨홀에 빠지거나,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공공예절이 필요한 곳에서도 자기 편한대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내 생각엔, 다른 사람이 자신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을 모르는 것 같다.

최소한 다른 사람을 배려한다면 그럴 수 없을 텐데,  자기 편한대로 살아간다.

다들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고 사는데, 스마트폰이 없었을 때는 어떻게 살았을까?

안전을 위해서, 서로 배려하는 입장에서, 조금만 배려하며 살자.



20170617 머니S 나이·장소 안가리는 '스몸비', 규제 vs 자유



(조선일보 전체기사) 

공공의 적 '스몸비' 1300만명 



(상세기사)

(1) 한국에만 있는 어깨빵 현상

1시간 34번… 스마트폰 코 박은 스몸비에 받혔다



(2) 공공장소 꼴불견 - 캄캄한 영화관서 셀카찍고, 전화받아 - 폰딧불이 공해

연극 보는데… 띠리릭~ 카톡… 당신의 폰매너는 몇점입니까



(3) 교통사고 유발자 - 왼손엔 핸들, 오른손으론 문자 - 도로 위 흉기 스몸비

걸어 다니는 시한폭탄, 도로 위의 '스몸비'



(4) 초상권 - 사생활 나몰라라

남들 찍히든 말든 화장실·목욕탕서도 찰칵



(5) 병원도 스마트폰 몸살 

진료받다 말고 한참 통화 - 대기환자 마냥 기다리게 해



(6) 등산로도 위험하다

스마트폰 보며 산 오르다 미끌 - 아찔한 산행 스몸비



(7)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들

선생님 말은 듣지도 않고,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들



(8) 아이 달래려다 민폐

우는 아이에 스마트폰 - 스몸비 키즈 만드는 엄마들




양자암호는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기술로

미국, 중국과 더불어 100키로가 넘는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나라가 됨.


양자암호통신은 에너지 최소 단위인 '양자(quantum)'의 복제 불가능한 특성 등을 이용한 통신 암호 기술이다. 전송구간에서는 어떤 기술로도 도청 불가능한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단일 광자(빛 알갱이)의 미약한 신호를 전송하는 탓에 한 번에 최대 80㎞까지만 전송이 가능했다. 단일 광자에 암호 열쇠를 실어보내는 것을 '양자암호키'라고 부른다.

통신사 기간통신망과 행정·국방·금융·의료 등 정보 보안이 필요한 다른 산업에서 서비스 활용도가 높다. 


이번에 개발한 것은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Trusted Repeater) 이다. Repeater는 약한 신호를 증폭해 주는 장치다.



20170619 전자신문 SK텔레콤, 양자암호통신 '장거리 전송' 성공

20170620 디지털타임즈 해킹 원천봉쇄 ‘양자암호통신’ 이르면 연내 상용화

20170620 한국경제 SKT "해킹 불가능한 장거리 양자통신 성공"



< 에버레스 랜섬웨어 > : 웹호스팅업체에 랜섬웨어 감염


-> 1. 랜섬웨어(에레부스, Erebus) 공격으로 웹호스팅업체(나야나)의 서버 감염. 리눅스 서버 153대 암호화.

    2.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백방으로 해결책을 수소문 했으나 해결방법이 없어 해커와 13억을 줘 복호화 키를 받음.

    3. 해커와의 합의에 대해 범죄자에게 돈을 주고 합의한 선례를 남겨 앞으로 한국의 기업 서비스에 대해 공격을 일으킬 것이라는 점과,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견해가 엇갈림. 복호화키를 얻지 않으면 고객의 데이터를 복구하지 못하므로 어쩔 수 없었을 것임.

       앞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이 심해질 것임.

    4. 그런데, 에레부스 랜섬웨어가 처음이 아니였고, 사고 신고를 하지 않고 돈을 지급함으로서, 대비책을 만들지 못해 피해를 키움.

    5. 유일한 해결책은 백업. 백업서버는 망분리를 해서 해커가 백업망까지 침투할 수 없도록 해야 함.



20170613    전자신문    '에레버스' 랜섬웨어, 웹호스팅 서버 첫 감염…“사이트 닫을 판” 

20170614    조선일보    기업 3400곳 데이터를 인질로… '몸값' 내라는 해커들

20170616    조선일보    킹당한 서버 풀 방법이 없었다 

20170618    전자신문    [이슈분석]에레부스 랜섬웨어 사고 처음 아니다 

20170619    디지털타임즈 201랜섬웨어 감염 `인터넷나야나`사태 계기 … 보안인증 받은 `대형 호스팅` 반사이익

                                        ISMS 인증 받았다고 해서 100% 안전한 것은 아닐 것임. 인증 안 받은 것 보다야 당연히 더 낫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