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위스컨신주 리버 폴스에 소재한 IT 기업인 ‘쓰리 스퀘어 마켓’은 손에 작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하여, 회사 출입증을 대신하고 업무용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사내 복사기 이용, 명함 공유 및 구내 매점에서의 결제등도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직원 85명 중 50명이 자발적으로 칩을 이식했다고 발표했다.

벨기에 디지털 마케팅 업체 뉴퓨전(NewFusion)이 전 직원에게 마이크로칩을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RFID 전자태그 칩에는 개인 식별 정보, 시스템 접근 권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이 칩은 엄지와 검지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술을 받기 싫으면 반지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들 칩에는 GPS 기능은 제외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으며, 기독교 신약성경의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짐승의 표를 연상시켜 종교적 논란도 예상되고 있다.

이 기술은 오래전에 등장했지만 외과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부담, 개인 추적 장치로 악용될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 종교적인 논란등으로 적용을 꺼렸지만 서서히 실생활에 적용되려 하고 있다.

신분증이나 지갑을 자주 분실하거나, 패스워드를 잊어버리는 사람에게는 편리한 점도 있겠지만, 악용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예상되므로, 철저한 감시하에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인 '스몸비(smombie)'는 

'스마트폰에 빠져 외부와 단절된 채 좀비처럼 사는 사람들'이란 뜻


스마트폰에만 집중하여 주위에 집중하지 않거나 느리게 걷는 보행자이다. 

산만한 보행자는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들은 주요한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맨홀에 빠지거나,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공공예절이 필요한 곳에서도 자기 편한대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내 생각엔, 다른 사람이 자신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을 모르는 것 같다.

최소한 다른 사람을 배려한다면 그럴 수 없을 텐데,  자기 편한대로 살아간다.

다들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고 사는데, 스마트폰이 없었을 때는 어떻게 살았을까?

안전을 위해서, 서로 배려하는 입장에서, 조금만 배려하며 살자.



20170617 머니S 나이·장소 안가리는 '스몸비', 규제 vs 자유



(조선일보 전체기사) 

공공의 적 '스몸비' 1300만명 



(상세기사)

(1) 한국에만 있는 어깨빵 현상

1시간 34번… 스마트폰 코 박은 스몸비에 받혔다



(2) 공공장소 꼴불견 - 캄캄한 영화관서 셀카찍고, 전화받아 - 폰딧불이 공해

연극 보는데… 띠리릭~ 카톡… 당신의 폰매너는 몇점입니까



(3) 교통사고 유발자 - 왼손엔 핸들, 오른손으론 문자 - 도로 위 흉기 스몸비

걸어 다니는 시한폭탄, 도로 위의 '스몸비'



(4) 초상권 - 사생활 나몰라라

남들 찍히든 말든 화장실·목욕탕서도 찰칵



(5) 병원도 스마트폰 몸살 

진료받다 말고 한참 통화 - 대기환자 마냥 기다리게 해



(6) 등산로도 위험하다

스마트폰 보며 산 오르다 미끌 - 아찔한 산행 스몸비



(7)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들

선생님 말은 듣지도 않고,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들



(8) 아이 달래려다 민폐

우는 아이에 스마트폰 - 스몸비 키즈 만드는 엄마들




양자암호는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기술로

미국, 중국과 더불어 100키로가 넘는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나라가 됨.


양자암호통신은 에너지 최소 단위인 '양자(quantum)'의 복제 불가능한 특성 등을 이용한 통신 암호 기술이다. 전송구간에서는 어떤 기술로도 도청 불가능한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단일 광자(빛 알갱이)의 미약한 신호를 전송하는 탓에 한 번에 최대 80㎞까지만 전송이 가능했다. 단일 광자에 암호 열쇠를 실어보내는 것을 '양자암호키'라고 부른다.

통신사 기간통신망과 행정·국방·금융·의료 등 정보 보안이 필요한 다른 산업에서 서비스 활용도가 높다. 


이번에 개발한 것은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Trusted Repeater) 이다. Repeater는 약한 신호를 증폭해 주는 장치다.



20170619 전자신문 SK텔레콤, 양자암호통신 '장거리 전송' 성공

20170620 디지털타임즈 해킹 원천봉쇄 ‘양자암호통신’ 이르면 연내 상용화

20170620 한국경제 SKT "해킹 불가능한 장거리 양자통신 성공"



< 에버레스 랜섬웨어 > : 웹호스팅업체에 랜섬웨어 감염


-> 1. 랜섬웨어(에레부스, Erebus) 공격으로 웹호스팅업체(나야나)의 서버 감염. 리눅스 서버 153대 암호화.

    2.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백방으로 해결책을 수소문 했으나 해결방법이 없어 해커와 13억을 줘 복호화 키를 받음.

    3. 해커와의 합의에 대해 범죄자에게 돈을 주고 합의한 선례를 남겨 앞으로 한국의 기업 서비스에 대해 공격을 일으킬 것이라는 점과,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견해가 엇갈림. 복호화키를 얻지 않으면 고객의 데이터를 복구하지 못하므로 어쩔 수 없었을 것임.

       앞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이 심해질 것임.

    4. 그런데, 에레부스 랜섬웨어가 처음이 아니였고, 사고 신고를 하지 않고 돈을 지급함으로서, 대비책을 만들지 못해 피해를 키움.

    5. 유일한 해결책은 백업. 백업서버는 망분리를 해서 해커가 백업망까지 침투할 수 없도록 해야 함.



20170613    전자신문    '에레버스' 랜섬웨어, 웹호스팅 서버 첫 감염…“사이트 닫을 판” 

20170614    조선일보    기업 3400곳 데이터를 인질로… '몸값' 내라는 해커들

20170616    조선일보    킹당한 서버 풀 방법이 없었다 

20170618    전자신문    [이슈분석]에레부스 랜섬웨어 사고 처음 아니다 

20170619    디지털타임즈 201랜섬웨어 감염 `인터넷나야나`사태 계기 … 보안인증 받은 `대형 호스팅` 반사이익

                                        ISMS 인증 받았다고 해서 100% 안전한 것은 아닐 것임. 인증 안 받은 것 보다야 당연히 더 낫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