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발달은 의료기기 개발에도 영향을 끼쳤다. 의료기기 및 서비스의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취약점이 꾸준히 발견되었으며, 의료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시작하면서 개발자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꾸준히 발견되어 왔다. 의료기기가 공격당할 때, 이를 사용하는 환자의 생명은 장담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모델'을 발간하였다.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모델'은 2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 I에서는 의료기기를 PART II에서는 서비스 유형별로 보안 모델을 제시하였다.
PART I 의료기기편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경 및 목적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에서는 기기의 역할에 따라 분류하였고,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위협에서는 인증 및 허가 유형, 암호유형, 데이터보안 및 안전한 통신 유형, 안전한 기기관리 및 물리적 보호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보안요구사항에서는 보안요구항목 및 보호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PART II 서비스 유형별의 주요내용으로는
배경 및 목적
디지털 헬스케어 구성요소 및 보안모델 개념에서는 의료기기 보안 모델과 서비스 모델 모델 프레임 워크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유형 분류에서는 서비스 유형 분류 프레임워크 및 서비스 그룹 정의,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보안위협에서는 사용자 인증, 암호화, 데이터 보호, 접근통제, 소프트웨어 보안, 보안기능에서의 다양한 보안위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 요구사항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전체에서 요구하는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나열하고, 각 유형별로 설명하고 있다.
해당 파일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 기존에는 요약본 하나에 설명되어 있던 것을 22.4.26일에 파일 2개로 다시 게시하였다. 이번에 공개된 파일 2개의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모델도 '요약본'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좀 더 자세한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모델이 공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래의 파일은 기존에 공개된 요약본 파일이다.
'의료보안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국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2020.12, 개정) (0) | 2021.01.21 |
---|---|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의료기관편, 2020.12.) (0) | 2021.01.15 |
스마트의료 사이버보안 가이드, KISA - 2018.05.29 (0) | 2019.12.30 |
2017 의료기관 개인정보보호&정보보호 컨퍼런스 (0) | 2017.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