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발간한 개인정보보호 연차보고서 입니다.

  

2012년부터 발간된 것으로 보이고, 아래 url로 가시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pipc.go.kr/cmt/not/ntc/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000000000079   


다 올려드리고 싶지만, 10MB 이상이 올라가지 않는군요.


2017 개인정보보호 연차보고서.pdf


스마트폰의 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는 Play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고, 아이폰의 경우 app store에서 앱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는 마켓에서 이용하는 정식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인터넷에서 배포되는 apk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apk에는 악성코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신뢰할 수 없는 사람에게서 온 문자나 카톡메시지 등에 포함된 URL을 통해 apk를 설치 할 때는 극히 조심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어떻게 차단 할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1. apk를 다운로드 받아 클릭하면 '보안을 위해 알 수 없는 출처에서 구매한 앱은 휴대전화에 설치되어 있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설정]을 클릭하면 2번 화면이 나옵니다.




2. 설정의 [출처를 일 수 없는 앱]이 비활성화 되어 있어서 apk를 다운로드 즉시 설치하지 못했습니다. 이 부분을 클릭해서 활성화를 하면 3번 화면이 나옵니다.

 




3.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허용을 클릭하면 앱이 설치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이번에만 설치 허용에 체크를 유지해 주세요. 만약 [이번에만 설치 허용]이 클릭되어 있지 않다면, 무심코 URL 등을 클릭했을 때 악성앱이 설치됩니다(안드로이드 버전 7.0 기준).




안드로이드의 설정의 보안(2번그림)에서 꼭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정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아 처음 가는 길을 조회 할 수 있고, 주변 맛집도 알아 볼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서비스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위치를 누군가가 계속 지켜보고 있다면 기분 좋을 분은 안계시겠지요? 구글의 경우 위치가 켜있는 경우, 핸드폰 로그인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저장해 놓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저의 타임라인인데요, 돌아다녔던 곳이 빨간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https://www.google.com/maps/timeline?pb)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위 URL에 들어가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간을 보냈는지 알 수 있으실껍니다. 가게 이름도 거의 정확히 나옵니다. 과연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정확합니다.


아래의 글을 한 번 읽어보세요. 깜짝 놀라실 껍니다.

http://www.hankookilbo.com/v/237908c5f5cc431ab81298227e3fdba5 ([구글 데우스] 구글은 알고 있다, 내가 모르는 나의 과거를)




위치정보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수집되고 있는지 느끼셨는지요?

이제 위치정보를 어떻게 끌 수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1. [설정]에 들어가서 [연결]을 클릭합니다.




2. [위치]를 클릭합니다.




3. 사용중을 클릭하면 위치가 꺼지게 됩니다. 자신이 필요할 때 잠깐씩 켜면 좋겠습니다만, 아주 귀찮겠지요? 그래도 개인의 위치 정보 보호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습니다.




메일을 사용하다보면 어떻게 알았는지, 스팸메일이 쌓이게 됩니다.

하나 하나 지우는 것도 시간 낭비일텐데요, 조금이라도 스팸메일을 덜 받는 기능들이 거의 모든 메일에 있습니다.

자동으로 싹 걸러주면 좋겠지만, 아직은 요원합니다.

누구에겐 스팸이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유용한 정보일 수도 있어서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다음과 네이버 메일을 기준으로 스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안 > 이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하지 않는 방법  (0) 2017.09.03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 끄는 방법  (0) 2017.09.02
쿠키를 삭제하는 방법  (0) 2017.08.31
Active-X 제거방법  (0) 2017.08.30
백업 및 복원 방법  (0) 2017.08.29


쿠키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핸드폰에 저장된 작은 텍스트 파일을 가르킵니다. 

이 기록 파일에 담긴 정보는 비밀번호, 검색기록, 계정 접근권한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어, 개인용 PC가 아닌 외부에서 인터넷을 할 때에는 반드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쿠키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안 > 이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 끄는 방법  (0) 2017.09.02
스팸메일 관리 (다음, 네이버 메일)  (0) 2017.09.01
Active-X 제거방법  (0) 2017.08.30
백업 및 복원 방법  (0) 2017.08.29
윈도우 업데이트  (0) 2017.08.28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작업을 하다보면 많은 Active-X(엑티브-X)를 설치하게 됩니다. 

특히나, 은행이나 증권같은 금융권 사이트 또는 결제를 할 때 많이 설치하게 되는데요,

이 Active-X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것으로 브라우저에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유감스럽게도, Active-X를 많이 사용한 웹사이트는 표준을 지키지 않기 때문에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같은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보이게 됩니다. 또한, 브라우징 속도 또한 지속적으로 느려지게 만드는데요, 사용하지 않는 Active-X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브라우저의 왼쪽 톱니바퀴모양을 클릭한 뒤, [추가기능 관리]를 클릭합니다.





2. 추가 기능 관리 창이 뜨면 왼쪽 하단의 현재 로드된 추가 기능을 [모든 추가 기능]으로 바꿔 주세요.




3. 모든 추가 기능에서 삭제할 Active-X 컨크롤을 선택 한 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정보]를 선택합니다.




4. 추가정보 창의 [제거]를 클릭하면 Active-X를 삭제 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 백업은 필수입니다. 데이터의 백업은 외장용 하드디스크로 백업 받으면 되고, 중요한 데이터는 USB 같은 외부 저장장치로 이중, 3중으로 백업 받아야 합니다.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시스템 역시 백업을 받아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윈도우의 시스템 이미지로 백업 받고 복원해 보겠습니다.


Windows 10에서도 시스템 이미지 백업은 Windows 7과 같습니다. 








'보안 > 이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를 삭제하는 방법  (0) 2017.08.31
Active-X 제거방법  (0) 2017.08.30
윈도우 업데이트  (0) 2017.08.28
익스플로러의 Inprivate 모드, 크롬의 시크릿창 사용법  (0) 2017.08.27
부팅시 비밀번호 걸기  (0) 2017.08.26

미국 위스컨신주 리버 폴스에 소재한 IT 기업인 ‘쓰리 스퀘어 마켓’은 손에 작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하여, 회사 출입증을 대신하고 업무용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사내 복사기 이용, 명함 공유 및 구내 매점에서의 결제등도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직원 85명 중 50명이 자발적으로 칩을 이식했다고 발표했다.

벨기에 디지털 마케팅 업체 뉴퓨전(NewFusion)이 전 직원에게 마이크로칩을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RFID 전자태그 칩에는 개인 식별 정보, 시스템 접근 권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이 칩은 엄지와 검지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술을 받기 싫으면 반지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들 칩에는 GPS 기능은 제외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으며, 기독교 신약성경의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짐승의 표를 연상시켜 종교적 논란도 예상되고 있다.

이 기술은 오래전에 등장했지만 외과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부담, 개인 추적 장치로 악용될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 종교적인 논란등으로 적용을 꺼렸지만 서서히 실생활에 적용되려 하고 있다.

신분증이나 지갑을 자주 분실하거나, 패스워드를 잊어버리는 사람에게는 편리한 점도 있겠지만, 악용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예상되므로, 철저한 감시하에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윈도우 업데이트는 윈도우의 보안 약점이나 버그를 고치기 위해 윈도우에서 배포하는 것입니다.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 또는 느려져서 재부팅 하는 도중에 주요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짜증이 날 수도 있는데요,

윈도우 업데이트는 보안의 기본 중에 기본이니, 꼭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여 패치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Windows 10의 경우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1. 시작 버튼을 클릭 한 뒤,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2. 제어판 항목 중 Windows Update를 선택합니다.




3. Windows Update 중 왼쪽의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4. Windows에서 업데이트 설치 방법 선택에서 업데이트 자동 설치를 선택합니다.



'보안 > 이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tive-X 제거방법  (0) 2017.08.30
백업 및 복원 방법  (0) 2017.08.29
익스플로러의 Inprivate 모드, 크롬의 시크릿창 사용법  (0) 2017.08.27
부팅시 비밀번호 걸기  (0) 2017.08.26
화면보호기 설정하기  (0) 2017.08.25

공용컴퓨터 또는 검색기록, 쿠키, 임시파일 등을 남기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inPrivate 및 시크릿 창의 정의

쿠키, 방문자 검색기록, 임시파일 정보를 컴퓨터에 따로 저장하지 않고, inPrivate, 시크릿 창을 닫을 때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합니다.

개인 PC의 보안에 민감하거나, 회사, 도서관, 공공장소 등 공용 PC를 사용하는 경우, 브라우징에서 사용된 모든 정보를 삭제 합니다.





'보안 > 이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업 및 복원 방법  (0) 2017.08.29
윈도우 업데이트  (0) 2017.08.28
부팅시 비밀번호 걸기  (0) 2017.08.26
화면보호기 설정하기  (0) 2017.08.25
내 컴퓨터에 암호 설정하기  (0) 2017.08.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