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자료실

가속화 되는 고령화 시대, 의료 인공지능 융합 현황 및 시사점

netana 2017. 7. 23. 19:07


□ 전세계 평균 기대 수명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기대수명 증가,

출산율 저하로 고령화 시대 돌입


ㅇ ‘15년 노령화지수는 95.1로 10년 전인 ‘05년의 두 배 정도 증가했으며, 노년 부양비도

18.1명으로 생산가능인구 5.5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함


□ 고령화 시대 돌입에 따른 만성질환자가 증가 하였으며, 고령자 1인당 진료비

증가에 따른 의료비 절감 및 생애주기·사전예방 관리를 위한 지능정보기술의 부각


ㅇ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343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6.5% 증가하였으며, 전체 1인당

진료비 115만원 보다 3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만성·중증 질환자의 치료를 위해 지능정보기술은 필수이며 IBM, 구글 등

글로벌 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의 AI기반 헬스케어 시장 진출 가속화


□ 국내는 의료기관, ICT기업, 통신사업자 중심으로 경쟁·협력을 통해 의료 융합

추진 중이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제도 개선 필요


ㅇ 의료기기 인증 절차 마련 등 의료융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은 마련하였으나,

원격의료법 등 미흡


□ 기대수명 증가 및 고령화 ▷ 만성질환자 및 의료비 증가 ▷ 사전예방 등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한 다부처 협력형 전략

수립 필요


가속화_되는_고령화_시대_의료_인공지능_융합_현황_및_시사점.pdf


(참고)

헬스케어 인공지능 산업 및 표준화 동향


헬스케어_인공지능_산업_및_표준화_동향.pdf




제4차 산업혁명과 소프트파워 이슈리포트 2017-제5호

출처 : http://www.itfind.or.kr/trend/trend/hotIssue/read.do?selectedId=0000000763